본문 바로가기
문화

도그워커 노욱상 대표로부터 듣는 '뉴욕의 반려동물 문화'

by 야호펫 2020. 12. 10.
반응형
  • 뉴욕 맨하탄의 유기동물보호소, 도그워커, 반려동물 공동묘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 국내 반려동물 문화와 도그워커 발전을 위한 고견을 들려주다

 

강아지들과 산책하고 있는 노욱상 대표

 

7월 16일(목), 평택에서 도그워커로 활동하고 있는 Roh의 노욱상 대표를 만났다.

 

"이 아이가 1998년 무지개 다리를 건넌 반려견 '사부'입니다."

 

미국에서 31년간 생활한 노 대표, 그는 반려견 사부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미국 뉴욕의 반려동물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도그워커 노 대표, 그는 미국 뉴욕에 우리의 태권도를 전파했던 태권도 국가대표 선수였다.

 

 

1998년 무지개 다리를 건넌 반려견 '사부'의 사진

 

인터뷰를 위해 집에 방문했을 때 그는 가장 먼저 자신의 반려견을 소개해줬다. 22년 전 무지개 다리를 건넌 '사부'를.

 

노 대표는 사부의 사진과 함께, 유골함을 보여줬다. 놀랍지 않은가? 22년 전 무지개 다리를 건넌 반려견의 유골함을 아직도 보관하고 있다는 것이!

 

반려견 사부를 잃은 노 대표는 펫로스의 아픔을 겪으며, 사부가 떠난 이후 7~8년 가량은 다른 개를 제대로 못 봤다고 한다. 그만큼 펫로스의 아픔이 컸었다고 노 대표는 말한다.

 

"아내와 결혼하고, 자녀를 출산하고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야 다시 입양할 수 있었습니다."라고 그는 말한다.

 

 

앨범에 들어있는 해외 신문의 모습 (노욱상 대표는 태권도 국가대표로 해외에서 국위를 선양했다)

 

반려견 사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자연스레 미국 뉴욕의 반려동물 문화에 대해 들을 수 있었다.

 

대화를 통해 유기견이었던 사부를 입양한 유기동물보호소 이야기, 반려인 가정에 방문해 반려견을 산책시켜주는 도그워커, 뉴욕의 반려동물 화장터와 공동묘지 이야기, 함께 산책을 하던 뉴욕의 산책로 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그 중 뉴욕에 반려동물 공동묘지가 있다는 이야기는 신기하기만 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반려동물 장례식장을 오픈하기 위해서는 지역 주민들의 지지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렇기에 도심에 반려동물 장례시설을 오픈한다는 건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다. 반면에 뉴욕의 경우 반려동물 장례시설과 공동묘지가 도시에 있다고 하니, 반려동물을 바라보는 시선이 우리와는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려견 사부의 이야기와 함께 미국에서 생활했던 노 대표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버몬트에서 생활할 때 200년 된 저택을 수리하면서 발견한 골프채를 소개하는 노 대표

 

노 대표가 주로 생활했던 곳은 미국 뉴욕의 맨하탄이다. 그곳에서 태권도 도장을 오픈해 태권도 보급에 힘썼다. 한때 가족이 시골 버몬트로 이사해 그곳에서도 생활했는데, 당시 200년 된 저택을 수리하면서 오래된 골프채를 발견했다면서 당시 발견한 골프채를 보여줬다. 요즘 골프채와는 달리 나무로 된 샤프트와 동그란 원모양이 각인된 골프채의 헤더를 볼 수 있었다.

 

젊은 시절 맨하탄에서 아르바이트로 도그워커를 했었다고 이야기하는 노 대표. 그는 반려동물 문화에 대한 개인적인 소견을 들려줬다.

 

"반려견에게 꼭 필요한 요소는 3가지가 있습니다. 그건 산책, 반려인과 함께 하는 시간, 그리고 개들과 뛰어놀도록 하는 것입니다."라고 노대표는 말한다. 노 대표가 설명하는 이 3가지 요소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산책은 대소변과 사회화를 위해 꼭 필요합니다.
  • 주인이 많은 시간 같이 있어줘야 하는 이유... 개들은 사회화가 필요한데, 본능적으로 무리로부터 떨어지지 않으려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사람은 물론 무리와 떨어진다는 건 반려견 입장에서는 두려운 일이 될 수 있습니다. 반려견이 사람을 따르는 것은 무리로부터 떨어지지 않으려는 본능에서 비롯된 모습이기도 합니다. 반려견이 다른 개와 같이 있어도 사람이 같이 있어 줘야 합니다. 그 이유는 아무리 완벽한 환경에 있어도 혼자 있으면 불안해하고 다른 개들과 있어도 반려인이 없으면 반려견이 아닌 개들 무리의 일부가 되기 때문입니다. (반려인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사회화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개들은 개들끼리 뛰어놀 수 있아야 합니다.

 

그리고 노 대표는 한국에서 1년여간 생활하며 느낀 우리나라의 반려동물 문화에 대한 소감을 들려줬다.

 

"우리나라는 사람 입장에서 개를 바라봅니다. 미국의 경우에는 개 입장에서 반려인과 반려견의 관계를 생각합니다."... 짧게 건넨 말이었지만 그 말 속에는 많은 의미가 담겨있었다.

 

 

데이케어 중인 강아지들과 산책하고 있는 노 대표의 모습

 

"한국에 와서 사료를 사러 간 적이 있습니다. 사료를 사러 가면 가게에서 제일 먼저 물어보는 말이 있는데, 그건 바로 '키우는 견종이 뭐예요?'라는 말이었습니다." 당연한 말인 것 같지 않은가? 하지만 이어지는 말에 여러분도 공감과 함께 당혹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 노 대표 : "믹스견인데요"
  • 가게 주인 : "그럼 저기 8천원짜리 사료를 먹이세요."
  • 노 대표 : "진돗개인데요."
  • 가게 주인 : "그럼 여기 2만원짜리 사료를 먹이세요"

 

"한국에서는 순종만 찾습니다"...

 

국내의 반려동물 문화가 모두 그런 건 아니겠지만, 노 대표의 말에 고개가 끄덕여지고 일면 공감하게 되는 건 왜일까? 미국에서 오래 생활한 노 대표의 눈에 비춰친 국내의 반려동물 문화... 알고 있으면서도 잘 느끼지 못했던 우리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하게 된다.

 

앞서 반려견 사부와 미국의 반려동물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오래 나눈터라, 노 대표가 생각하는 반려동물에 문화에 대한 견해를 자세히 들을 수는 없었다. 하지만 노 대표는 국내 반려동물 문화의 단면을 너무나 예리하게 통찰하고 있었고, 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픈 열정어린 마음도 지니고 있었다.

 

31년 간 해외에서 생활하며, 태권도를 해외에 전파해 온 노 대표. 반려견 사부와의 추억을 잊지 못해 유골함을 항상 곁에 두고 있는 반려인. 국내에 도그워커 문화를 활성화하고 싶어하는 애견인!

 

노 대표와의 대화는 기자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했다. 노 대표가 들려준 뉴욕 맨하탄의 반려동물 이야기는 이제 머지않아 우리의 반려동물 이야기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그리고 그 중심에 노 대표와 같은 분이 계시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넓은 식견으로 우리의 반려동물 현주소와 발전방향을 설명해 준 노 대표에게 다시한번 감사드리며 이 글을 맺는다.